SCHD 배당금으로 한 달 생활비 마련하기 위해 얼마나 오래 장기투자해야 할까요? 미국 ETF 위험성은 없을까요? 이 글은 효율적인 SCHD ETF 투자 방법과 주의사항 등 모든 정보를 안내해 드립니다.
목록
SCHD 장기투자 추천하는 이유!
배당금 ETF 대명사인 SCHD는 국내에서도 동일한 카피 상품을 판매할 만큼 인기가 많습니다. 실제 미국 내에서도 베스트셀러인 SCHD ETF는 장기투자를 추천하는데요. 이는 곧 SCHD 배당금으로 한 달 생활비 이상 마련하겠다는 투자자들의 목표가 있습니다. 즉, SCHD로 조기 은퇴 또는 노후 대책 전략으로 좋은 상품이라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SCHD 장기투자하면 왜 좋을까요?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1. 튼튼한 종목 구성
아래 사진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만약 SCHD ETF를 상장일인 2011년 10월부터 100,000 달러를 투자했다면 불과 12년이 지난 시점의 수익은 무려 429,938달러입니다. 400%가 넘는 수익률을 자랑하지요? 그 이유가 있습니다. SCHD가 추종하는 기초 지수인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를 따라가고 있는데요. 이 지수를 구성하는 기본 모티브는 아래와 같습니다.
- Dow Jones U.S. Broad Market Index 구성 종목
- 최소 유동 시가총액: 5억 달러 이상 넘는 기업
- 3개월 일평균 거래대금: 200만 달러 이상인 기업
- 배당금 지급: 최소 10년 이상 연속 배당
그 외 기업의 부채, 연배당 수익률, 배당 성장률을 면밀히 따져 구성합니다. 위 구성 요소를 보면 눈치를 채셨을 것입니다. 꾸준한 성장과 배당금 지급까지 하는 기업으로 구성되었다는 사실을요.
여러분들께서 잘 아실만한 큰 기업들이 SCHD 배당의 40% 정도 구성되어 있는데요. 아래 표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종목 | SCHD 지분 | 연간 배당률 | 연간 배당 성장률 |
---|---|---|---|
브로드컴 | 5.44% | -2023: 1.71% -2022: 3.09% -2021: 2.36% -2020: 3.31% -2019: 4.03% | -2023: 12.72% -2022: 13.42% -2021: 11.61% -2020: 19.20% -2019: 41.775 |
애브비 | 4.75% | -2023: 3.86% -2022: 3.67% -2021: 4.19% -2020: 5.04% -2019: 5.83% | -2023: 7.96% -2022: 8.46% -2021: 10.17% -2020: 10.28% -2019: 19.22% |
머크 | 4.46% | -2023: 2.72% -2022: 2.59% -2021: 3.61% -2020: 3.33% -2019: 2.82% | -2023: 5.71% -2022: 7.29% -2021: 10.36% -2020: 9.73% -2019: 13.57% |
홈디포 | 4.41% | -2023: 2.43% -2022: 2.49% -2021: 1.69% -2020: 2.44% -2019: 2.76% | -2023: 10.00% -2022: 15.15% -2021: 10.00% -2020: 10.29% -2019: 32.04% |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 4.16% | -2023: 2.97% -2022: 2.95% -2021: 2.39% -2020: 2.48% -2019: 2.82% | -2023: 7.04% -2022: 11.40% -2021: 13.17% -2020: 15.89% -2019: 22.05% |
버라이즌 | 3.81% | -2023: 7.7% -2022: 7.13% -2021: 5.59% -2020: 5.06% -2019: 4.96% | -2023: 1.94% -2022: 1.98% -2021: 2.02% -2020: 2.06% -2019: 2.11% |
쉐브론 | 3.78% | -2023: 4.09% -2022: 3.32% -2021: 4.93% -2020: 7.00% -2019: 4.78% | -2023: 6.34% -2022: 6.97% -2021: 2.91% -2020: 8.40% -2019: 6.25% |
암젠 | 3.73% | -2023: 2.98% -2022: 3.08% -2021: 3.37% -2020: 3.09% -2019: 2.74% | -2023: 9.79% -2022: 10.23% -2021: 10.00% -2020: 10.34% -2019: 9.85% |
코카콜라 | 3.70% | -2023: 3.12% -2022: 2.85% -2021: 3.01% -2020: 3.28% -2019: 3.28% | -2023: 4.55% -2022: 4.76% -2021: 2.44% -2020: 2.50% -2019: 2.56% |
시스코 | 3.70% | -2023: 3.09% -2022: 3.29% -2021: 2.49% -2020: 3.52% -2019: 3.28% | -2023: 2.65% -2022: 2.72% -2021: 2.80% -2020: 3.62% -2019: 7.81% |
기타 | 58.04% | – | – |
SCHD ETF를 구성하는 상위 10개 종목입니다. 꾸준한 연간 배당률을 보여주지요? 더 놀라운 사실은 연간 배당 성장률입니다. 국내 기업과 달리 대기업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배당 성장률을 보여줍니다. 이 뜻은 장기투자를 한다면 더 큰 수익을 보장한다는 의미입니다.
기업 섹터 비중도 밸런스가 매우 뛰어납니다.

이처럼 꾸준한 배당금을 지급하는 건실한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어 투자자들이 믿고 투자하는 첫 번째 이유입니다.
2. 배당금 재투자
SCHD 장기투자하는 두 번째 이유는 분기마다 지급된 배당금을 재투자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SCHD 배당 재투자를 했을 경우와 하지 않았을 경우 비교해 보겠습니다.


어떻습니까? 무려 133,376달러의 큰 차이가 발생합니다. 배당금으로 생활비 마련 목표 금액이 완성될 때까지 무조건 재투자를 추천드립니다.
3. 안정적인 주가 성장
어찌 보면 장기투자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는데요. 투자자들의 심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부분입니다. 만약 여러분께서 투자한 주식의 변동이 심하다면 견딜 수 있을까요?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주식 투자에 실패하는 이유가 주가 변동을 견디지 못하고 손절해버리기 때문이죠.
SCHD 주가 성장 그래프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 연평균 주가 성장률: 9.35%
- 최고의 해 성장률: 32.86%
- 최악의 해 성장률: -5.51%
- 최대 하락폭: -22.34%
투자자들이 가장 견디기 힘든 것은 MDD라고 불리는 ‘최대 하락폭’입니다. SCHD 최대 하락폭은 -22.34%로 낮은 편입니다. 하락폭이 크다고요? 다른 인기 ETF 최대 하락폭과 비교해 보겠습니다.
- SPY: -52.20%
- QQQ: -81.08%
여러분들이라면 50% ~ 80% 손실을 감당할 수 있으신지요? 만약 투자금이 1억 원이라면 5천만 원에서 8천만 원의 손실이 발생했다는 의미인데요. 필자와 같이 소심한 사람이라면 절대 견딜 수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장기투자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 않는 투자를 해야 합니다.
4. 뭐니 뭐니 해도 배당금
역시 SCHD 장기투자의 이유는 배당금이죠. 장기투자 시 배당금이 얼마나 큰지 와닿지 않는 분들을 위해 아래 사진을 준비했습니다.


100,000달러(약 1억 3천만 원)를 11년 동안 SCHD 장기투자한 결과입니다. SCHD 특성상 배당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배당금이 점점 증가합니다. 결국 2023년 1년 배당금은 14,390달러(약 1,900만 원)까지 증가했습니다. 한 달에 약 160만 원 배당금이 발생한 꼴입니다.
발생하는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 차이도 큰데요. 약 40,000달러(약 530만 원) 차이가 납니다. 급하게 사용할 일이 없다면 발생하는 배당금은 재투자가 원칙입니다.
SCHD 배당 분석: 배당일, 배당률
SCHD 배당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2024년 SCHD 배당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배당락일(미국 기준) | 3월 20일 | 3월 26일 | 9월 25일 | 12월 11일 |
배당지급일(미국 기준) | 3월 25일 | 7월 1일 | 9월 30일 | 12월 16일 |
SCHD 배당금을 지급받기 위해서 ‘배당락일’ 하루 전까지 매수를 해야 하는데요. 매수 계획이 있다면 위 표에서 안내된 배당락일 보다 하루 전 매수를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SCHD ETF의 연간 배당금과 배당률은 얼마나 될까요?
연도 | 연간 배당금 | 연간 배당률 | 전년도 대비 배당 성장률 |
---|---|---|---|
2023 | $2.6580 | 3.58% | 3.77% |
2022 | $2.5615 | 3.15% | 13.90% |
2021 | $2.2490 | 2.87% | 10.88% |
2020 | $2.0284 | 3.34% | 17.64% |
2019 | $1.7242 | 2.91% | 19.79% |
2018 | $1.4393 | 2.66% | 6.96% |
2017 | $1.3457 | 2.85% | 6.97% |
2016 | $1.2580 | 2.85% | 9.72% |
2015 | $1.1466 | 2.82% | 9.52% |
2014 | $1.0469 | 2.58% | 15.83% |
2013 | $0.9038 | – | 11.58% |
2012 | $0.8100 | – | – |
2011 | $0.1217 | – | – |
2014년 배당률은 2.58%부터 시작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배당률은 3.58%입니다. 평균 SCHD 배당률은 3.45%입니다.
배당 성장률 또한 큰 폭으로 증가했는데요. 평균 배당 성장률은 11.50%입니다. 미래에는 이 정도로 성장하지 하지 않을 수 있다고요? 하지만 걱정하지 마십시오.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는 투자 수익을 위해 지속적으로 기업 구성 및 비중을 조절하고 있습니다. 필자 개인적인 생각은 ‘국내 기업보다 우수하다!’입니다.
SCHD ETF 주의 사항
SCHD 투자 시 주의 사항에 대한 안내입니다. 미국 ETF 및 주식 투자 시 가장 고려해야 하는 점인데요. 바로 세금입니다. 미국은 국내 주식과 달리 양도 소득세와 배당 소득세 모두 존재합니다.
- 국내 주식 및 ETF:
양도 소득세, 배당 소득세 - 미국 주식 및 ETF: 양도 소득세, 배당 소득세
수익에 따른 세금이 꽤 큽니다.
구분 | 매매차익(양도 소득세) | 배당금(배당 소득세) |
---|---|---|
세율 | 250만 원까지 비과세 (250만 원 초과 분 22% 원천징수) | 15% 원천징수 |
금융소득 종합과세 | 비대상 | 연 2,000만 원 초과시 |
지역 건강보험료 | 비대상 | 연 1,000만 원 초과 시 |
우선 매매 차익에 대한 세금인 ‘양도 소득세’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미국 ETF 매매 시 차익(매매 금액 – 매수 금액)이 250만 원까지 비과세입니다. 250만 원 초과분에 대해 22%의 높은 세금이 발생하는데요. 여러분에게 입금되는 금액은 22% 제외한 금액입니다. 원천징수되기 때문에 ‘금융소득 종합과세’ 또는 ‘지역 건강보험료’ 영향은 전혀 없습니다.
22%의 높은 양도 소득세에 부담이 되기 때문에 ‘국내 상장 미국 ETF(한국판 SCHD)’를 고려하는 분들도 계신데요. 국내 상장 미국 ETF의 경우 15.4%만 원천징수되기 때문입니다.
미국 ETF 매매차익 기준 830만 원이 넘지 않는다면 미국 ETF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830만 원이 넘는다면 국내 상장 미국 ETF 선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좀 헷갈리지요? 250만 원까지 비과세인데 웬 830만 원이냐고요?
- 미국 ETF 매매 차익 계산:
- 830만 원 -250만 원(비과세) = 580만 원
- 580만 원 * 22%(양도 소득세) = 1,276,000원
- 국내 상장 미국 EFT 매매 차익 계산:
- 830만 원 * 15.4%(양도 소득세) = 1,278,200원
위 계산처럼 미국 ETF 매매 차익이 830만 원 초과 시 22% 세율 적용되면 오히려 국내 상장 미국 ETF가 더 효율적이라는 의미입니다. 15.4%로 더 작은 세율이 적용되니까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에 대한 더욱 쉽고 상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배당금의 경우 15% 원천징수 후 입금됩니다. 유의할 점이 있습니다. 배당금이 연 1천만 원 초과되면 건강보험료 지역 가입자의 경우 추가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배당금이 연 2천만 원 이상 초과되면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 이는 곧 세금 납부 범위가 높아진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해외 주식 배당금 세금보다 더 무서운 사실!]
여러분들께서 ‘SCHD 장기투자’ 준비하고 계시다면 ‘한국판 SCHD’를 퇴직연금, IRP 계좌로 투자하는 것을 고려해 볼만한데요. 그 이유는 위와 같은 세금이 모두 ‘비과세’ 적용을 받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쉽고 자세한 안내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 IRP ISA 순서 포인트!(나이, 납입 금액 별)]
[한국판 SCHD 월배당 ETF 선택을 위한 5가지 요령!]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엄 다우존스 투자 꿀팁!]
SCHD 투자 금액 설정 방법
SCHD 장기투자 시 목표 금액 설정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투자 금액 설정 기본은 아래와 같습니다.
- 보유 자산: 0원
- 발생 배당금: 재투자
- 연간 배당률: SCHD 평균 3.45%
- 배당 성장률: SCHD 평균 11.50%
- 배당 소득세: 미국 15%, 한국 0%
- 물가 상승률: 2%
1. 미국 SCHD ETF 투자 금액
목표 월 배당금 수령을 위해 투자 금액과 목표 달성 시기 계산 결과입니다. 미국의 경우 15% 배당 소득세를 적용해 계산해 보았습니다.
월 배당금 | 매월 투자 금액 | 목표 달성 시기 | 총 자산 |
---|---|---|---|
100만 원 | 50만 원 | 15년 | 1억 5천만 원 |
100만 원 | 12년 | 2억 원 | |
150만 원 | 10년 | 2억 3천만 원 | |
200만 원 | 9년 | 2억 6천만 원 | |
200만 원 | 50만 원 | 18년 | 2억 4천만 원 |
100만 원 | 15년 | 3억 원 | |
150만 원 | 13년 | 3억 4천만 원 | |
200만 원 | 12년 | 4억 원 | |
300만 원 | 50만 원 | 20년 | 3억 3천만 원 |
100만 원 | 17년 | 4억 원 | |
150만 원 | 15년 | 4억 5천만 원 | |
200만 원 | 14년 | 5억 3천만 원 | |
400만 원 | 50만 원 | 21년 | 3억 9천만 원 |
100만 원 | 18년 | 4억 7천만 원 | |
150만 원 | 16년 | 5억 2천만 원 | |
200만 원 | 15년 | 6억 1천만 원 |
매월 50만 원 투자로 월 배당금 100만 원 만들기 위해 약 15년 정도 소요됩니다. 월 투자금이 200만 원이라면 9년밖에 걸리지 않네요. 그렇다면 연금저축, IRP 등 비과세 혜택을 적용하면 어떻게 될까요?
2. 한국판 SCHD 투자 금액
한국판 SCHD ETF 투자는 연금저축, IRP, ISA 계좌를 활용한다면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는데요. 비과세 적용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월 배당금 | 매월 투자 금액 | 목표 달성 시기 | 총 자산 |
---|---|---|---|
100만 원 | 50만 원 | 14년 | 1억 4천만 원 |
100만 원 | 11년 | 1억 8천만 원 | |
150만 원 | 9년 | 2억 원 | |
200만 원 | 8년 | 2억 3천만 원 | |
200만 원 | 50만 원 | 17년 | 2억 3천만 원 |
100만 원 | 14년 | 2억 9천만 원 | |
150만 원 | 12년 | 3억 2천만 원 | |
200만 원 | 11년 | 3억 7천만 원 | |
300만 원 | 50만 원 | 18년 | 2억 7천만 원 |
100만 원 | 16년 | 3억 3천만 원 | |
150만 원 | 14년 | 4억 3천만 원 | |
200만 원 | 13년 | 5억 원 | |
400만 원 | 50만 원 | 19년 | 3억 3천만 원 |
100만 원 | 17년 | 4억 6천만 원 | |
150만 원 | 15년 | 5억 원 | |
200만 원 | 14년 | 5억 7천만 원 |
미국 SCHD ETF에 직접 투자 시 보다 1년 정도 짧아집니다. 한국판 SCHD 추가적인 장점은 배당금으로 인한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다만 연금 수령 시 연령에 따라 3.3% ~ 5.5% 연금 소득세가 발생합니다.
3. 복리의 마법
필자가 SCHD 투자 방법 조사하다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했는데요. 아래 표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월 배당금 | 매월 투자 금액 | 목표 달성 시기 | 총 자산 |
---|---|---|---|
100만 원 | 50만 원 | 14년 | 1억 4천만 원 |
200만 원 | 50만 원 | 17년 | 2억 3천만 원 |
300만 원 | 50만 원 | 18년 | 2억 7천만 원 |
400만 원 | 50만 원 | 19년 | 3억 3천만 원 |
매월 50만 원으로 월 배당금 100만 원 수령을 위해 14년이 소요되었습니다. 그런데 월 배당금 200만 원 수령을 위해 3년만 더 투자하면 되는데요. 재미있는 사실은 월 배당금 300만 원으로 올리기 위해 1년만 더 투자하면 됩니다.
이것이 바로 ‘복리의 마법’인데요. 복리 투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세가 가파르게 올라갑니다. 그래서 지금이라도 당장 장기 투자를 시작해야 합니다. 조금이라도 빨리 투자를 시작한다면 ‘경제적 자유’는 더 빨라집니다.
지금까지 SCHD 배당 재투자로 장기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렸습니다. 장기 투자 시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세금입니다. 필자의 안내대로 세금에 유의하면서 미국 ETF 투자를 한다면 보다 빨리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세금을 줄이는 현명한 방법에 대해 조만간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여러분의 투자 성공을 응원합니다.
함께 알아두면 유용한 투자 꿀팁!
- 주린이를 위한 미국주식 사는법 (수수료 비교 포함)
- S&P 500 ETF 장기투자 전망? 종류별 투자하는 법
- 국내, 미국 나스닥 100 ETF 비교: 성향별 종목 추천
- 파이어족 실현을 위한 JEPI 배당금 투자 전략!
- 저축성 연금보험 장단점? 가입 전 ‘이것’ 필수 확인!
- 고배당 ETF? 커버드콜 장단점 분석을 통한 ETF 추천!
- 초보자를 위한 개인연금저축 펀드, 보험 설계 요령!
- 나에게 맞는 ISA 계좌 찾기!(중개형, 일임형, 신탁형)
- 현명한 달러 투자 방법 4가지 (달러 예금, RP, 통장, ETF)
- 모햇 투자! 위험성(안전한가) 팩트 체크 5가지
- 주택연금 수령액 보다 더 중요한 사실: 장점 및 단점!
- 풍차돌리기 적금? 예금? 너무 고민하지 마세요!
- 파킹통장 금리 비교 및 순위 TOP 10(매월 업데이트)
- 예금자보호법 적용받으려면 ‘이것’을 꼭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