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에 투자하려고 고민이신가요? 주가 성장성, 높은 배당금을 바탕으로 선정한 5개의 ETF를 주목해 주세요. 종목 선정뿐만 아니라 ‘하이일드 스프레드’를 참고해 투자하는 요령까지 안내해 드립니다.
목록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 BEST 5 선정 기준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만의 독특한 매력은 투자 시기만 잘 잡는다면 주가 상승은 물론 짭짤한 배당금까지 함께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점인데요. 하이일드 채권 펀드와 달리 매월 배당금을 지급하는 종목이 많습니다. 이는 채권 ETF의 특징이기도 한데요. 필자가 소개하는 베스트 5에서도 중요한 선정 기준 중 하나입니다.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 best 5 선정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순자산(시가총액)
- 거래량
- 배당률
‘순자산’이 중요한 이유는 이 종목에 대한 ‘인기도’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인기가 있다는 뜻은 투자자가 많다는 의미이죠? 이는 결국 운용보수로 연결됩니다. ETF 종목의 특성상 수수료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요. 인기가 많아 투자자가 몰리는 ETF 종목은 거래 수수료가 낮은 편입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투자자가 많아진다는 뜻은 거래 대금이 많아진다는 뜻이고 결국 1인이 부담해야 하는 수수료는 점차 낮아지는 구조입니다.
‘거래량’은 순자산과 연결됩니다. 순자산이 높은 종목들은 당연하게도 ‘거래량’이 많습니다. 인기 없는 종목들은 거래량이 없기 때문에 본인이 원하는 가격에 매수, 매도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활발한 거래량을 보이는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는 말 그대로 ‘높은 배당’ 채권에 투자하는 종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당률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매월 지급하는 배당금, 배당률을 중요한 기준으로 선정했습니다.
이렇게 선정된 하이일드 채권 ETF Best 5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 LQD
- USHY
- HYG
- SPIB
- JNK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 BEST 5 비교
필자가 추천하는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의 구성과 장단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구성 | iShares iBoxx $ High Yield Corp Bd ETF | iShares iBoxx $ Invmt Grade Corp Bd ETF | iShares Broad USD High Yield Corp Bd ETF | SPDR® Portfolio Interm Term Corp Bd ETF | SPDR® Blmbg High Yield Bd ETF |
---|---|---|---|---|---|
티커 | HYG | LQD | USHY | SPIB | JNK |
유형 | ETF | ETF | ETF | ETF | ETF |
기초자산 | 채권 | 채권 | 채권 | 채권 | 채권 |
특징 | High yield | High yield | High yield | High yield | High yield |
기초지수 | Markit iBoxx Liquid High Yield TR USD | Markit iBoxx Liquid IG TR USD | ICE BofA US HY Constnd TR USD | Bloomberg Interm Corp TR USD | Bloomberg VLI High Yield TR USD |
실부담비용 | 0.4900% | 0.1400% | 0.0800% | 0.0400% | 0.0400% |
발행사 | iShares | iShares | iShares | SPDR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 SPDR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
상장일 | 2007.04.04 | 2002.07.22 | 2017.10.25 | 2009.02.10 | 2007.11.28 |
순자산총액 | $ 14,436M | $ 28,828.6M | $ 20,537.3M | $ 9,635.7M | $ 8,226.3M |
현재가 (2024.10.21. 기준) | 79.80 | 110.75 | 37.40 | 33.36 | 97.09 |
평균 거래량 | 3,690.07만주 | 2,791.74만주 | 948.15만주 | 423.68만주 | 344.65만주 |
연 분배율(배당률) | 6.33% | 4.29% | 6.60% | 4.31% | 6.48% |
모두 비슷한 듯 다릅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이 종목들을 구성하고 있는 ‘기초지수’인데요.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이를 구성하는 기초지수에 속한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가 차이도 있는데요. 위 종목들의 주가를 확인해 볼까요?

등락의 차이는 있지만 큰 흐름은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하이일드 스프레드’ 흐름과 비슷한데요.

하이일드 스프레드와 흐름은 비슷하지만 주가 등락폭 차이가 나는 이유는 해당 종목의 기초지수와 이에 포함되는 하이일드 채권의 종류(금리) 때문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각 종목들의 구성을 살펴보겠습니다.
구성 | HYG | LQD | USHY | SPIB | JNK |
---|---|---|---|---|---|
구성종목 수 | 1264 | 2830 | 1893 | 4781 | 1183 |
1위 | DISH Network Corporation 11.75% (0.46%) | BlackRock Cash Funds Treasury SL Agency (1.30%) | BlackRock Cash Funds Treasury SL Agency (0.48%) | Bank of America Corp. 5.425% (0.38%) | Ssi Us Gov Money Market Class State Street Inst Us Gov (0.84%) |
2위 | BlackRock Cash Funds Treasury SL Agency (0.45%) | Anheuser-Busch Companies LLC / Anheuser-Busch InBev Worldwide Inc 4.9% (0.26%) | Medline Borrower LP 3.875% (0.32%) | Ssi Us Gov Money Market Class State Street Inst Us Gov (0.24%) | Tibco Software Inc 6.5% (0.43%) |
3위 | Medline Borrower LP 3.875% (0.40%) | T-Mobile USA, Inc. 3.875% (0.20%) | Tibco Software Inc 6.5% (0.29%) | Morgan Stanley 6.627% (0.20%) | Medline Borrower LP 3.875% (0.42%) |
4위 | Tibco Software Inc 6.5% (0.38%) | CVS Health Corp 5.05% (0.20%) | Cloud Software Group Inc. 9% (0.29%) | Wells Fargo & Co. 5.707% (0.15%) | Cloud Software Group Inc. 9% (0.41%) |
5위 | Cloud Software Group Inc. 9% (0.37%) | Pfizer Investment Enterprises Pte Ltd. 5.3% (0.17%) | Directv Financing LLC/Directv Financing Co-Obligor Inc. 5.875% (0.26%) | Citigroup Inc. 5.411% (0.15%) | DISH Network Corporation 11.75% (0.39%) |
6위 | Directv Financing LLC/Directv Financing Co-Obligor Inc. 5.875% (0.35%) | Goldman Sachs Group, Inc. 6.75% (0.17%) | HUB International Ltd. 7.25% (0.25%) | Bank of America Corp. 1.734% (0.13%) | Directv Financing LLC/Directv Financing Co-Obligor Inc. 5.875% (0.37%) |
7위 | Venture Global LNG Inc. 9.5% (0.32%) | AbbVie Inc. 3.2% (0.16%) | CCO Holdings, LLC/ CCO Holdings Capital Corp. 5.125% (0.25%) | Pfizer Investment Enterprises Pte Ltd. 4.75% (0.13%) | HUB International Ltd. 7.25% (0.35%) |
8위 | HUB International Ltd. 7.25% (0.32%) | AbbVie Inc. 4.25% (0.15%) | Venture Global LNG Inc. 9.5% (0.25%) | Goldman Sachs Group, Inc. 4.25% (0.12%) | Venture Global LNG Inc. 9.5% (0.34%) |
9위 | CCO Holdings, LLC/ CCO Holdings Capital Corp. 5.125% (0.31%) | AT&T Inc 3.5% (0.15%) | Truist Insurance Holdings LLC & Panther Co-Issuer Inc. 7.125% (0.24%) | Oracle Corp. 2.65% (0.11%) | Uniti Group LP/Uniti Fiber Holdings Inc/Uniti Group Finance 2019 Inc/CSL Ca (0.32%) |
10위 | Teva Pharmaceutical Finance Netherlands III B.V. 3.15% (0.31%) | Wells Fargo & Co. 5.013% (0.15%) | DISH Network Corporation 11.75% (0.23%) | Morgan Stanley 3.591% (0.11%) | AAdvantage Loyalty IP Ltd/ American Airlines Inc 5.75% (0.32%) |
이를 구성하는 종목들은 종류와 비중은 바뀔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하이일드 채권 ETF의 장점을 알 수 있는데요. 직접 회사채에 투자하면 기업 부도의 위험으로 가치가 ‘0’이 될 수 있지만, ETF는 구성 종목만 바뀔 뿐 위험 요소는 크게 줄어듭니다.
하이일드 채권 ETF의 투자 적절 시기는 경제 위기 발생 또는 미국 기준 금리 고점 시기인데요. (투자 요령은 마지막 챕터에서 계속 안내됩니다.)

최근 경제 위기 상황인 코로나19 시기부터 현재(2024.10.22.)까지 주가 흐름을 보자면 가장 등락폭이 큰 LQD는 가장 낮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른 종목들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기준 금리 고점부터는 어떨까요?

2023년 7월 미국 기준 금리는 고점이 되었습니다. 2024년 금리 인하 시기까지 비교해 보면 역시 LQD가 등락폭이 크지만 SPIB를 따라잡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가장 높은 수익이 예상됩니다.
여러분이 종목 선택할 때 놓치기 쉬운 중요한 점 하나가 있습니다. 바로 ‘운용 보수’입니다. 인기가 많은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인 HYG는 연간 운용 보수가 0.49%로 의외로 높은 편입니다. 그렇다고 다른 종목보다 수익률이 높은 편도 아닙니다. 수수료만 따져본다면 ‘SPIB’ 또는 ‘JNK’의 수수료가 0.04%로 가장 낮습니다. 하지만 수수료만으로 종목을 선정할 수 없겠지요? 중요한 요소가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배당금’입니다.
위 5종목의 최근 배당률을 살펴보면 ‘USHY’의 배당률이 6.60%로 가장 높습니다. 연 수수료가 가장 낮은 ‘SPIB’의 경우 연 배당률은 4.31%로 타 종목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최근 배당률도 중요하지만 연도별 배당률도 중요한데요. 배당금 지급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 배당금 비교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 배당금 역사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연도 | HYG | LQD | USHY | SPIB | JNK |
---|---|---|---|---|---|
2014년 | 5.72% | 3.43% | – | 2.87% | 5.92% |
2015년 | 5.54% | 3.38% | – | 2.63% | 6.01% |
2016년 | 5.68% | 3.32% | – | 2.65% | 6.33% |
2017년 | 5.10% | 3.22% | 0.24% | 2.66% | 5.83% |
2018년 | 5.17% | 3.37% | 3.43% | 2.90% | 5.57% |
2019년 | 5.28% | 3.46% | 6.08% | 3.11% | 5.61% |
2020년 | 5.15% | 3.03% | 5.89% | 2.68% | 5.60% |
2021년 | 4.48% | 2.50% | 5.20% | 1.84% | 4.67% |
2022년 | 4.66% | 2.77% | 5.65% | 1.96% | 5.06% |
2023년 | 5.62% | 3.73% | 6.46% | 3.30% | 6.40% |
2024년(10월 까지) | 5.86% | 4.23% | 6.68% | 4.11% | 6.52% |
배당금 지급 역사를 살펴보니 HYG, USHY, JNK가 우수합니다. 지속적으로 큰 차이 없이 배당금 지급에 정성을 쏟는 모습이네요. 반면 SPIB ETF의 경우 연도별 편차가 큰 편입니다.
이제 이렇게 모인 근거를 바탕으로 투자한다면 어느 종목에 투자하시겠습니까? 필자는 시기별 투자 종목은 다르다고 판단했습니다.
하이일드 채권 ETF 투자 전략!
하이일드 채권은 ‘신용도가 낮은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그래서 ‘정크 본드’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만약 국채와 정크본드가 동일한 금리라면 여러분은 어느 상품에 투자할 것입니까? 당연히 안정성이 우수한 국채에 투자하겠지요? 하이일드 채권은 기업 신용도가 낮기 때문에 높은 금리로 승부하는 것이지요.
기업 신용도가 낮은 기업은 경제 위기 시 취약한 모습을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하이일드 스프레드도 이 시기에 매우 높은 모습을 보이는데요.

위 차트는 최근 3번의 경제 위기 상황에 따른 하이일드 스프레드입니다. 급격히 상승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요? 하이일드 스프레드 지수는 ‘미국 10년 물 채권 금리’에서 ‘회사채 금리’를 뺀 지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지수가 상승하는 경우는 2가지인데요.
- 경제 위기
- 미국 기준 금리 상승
경제 위기를 맞이하면 당연히 위험 자산의 가치가 떨어집니다. 특히, 하이일드 채권은 위험하기 때문에 아무도 소유하려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하이일드 스프레드는 높게 치솟을 수밖에 없는 구조이죠. 의외로 이때가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 투자 적기입니다. 아래 차트를 확인해 볼까요?

위 차트는 코로나19 발생으로 경제 위기가 온 상황입니다. 이때 하이일드 스프레드 지수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하이일드 채권 ETF도 급락했습니다. 하지만 회복도 빨랐는데요. 등락폭이 큰 LQD ETF의 주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그래서 경제 위기가 발생한다면 추천드리는 ETF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LQD
- USHY
- JNK
LQD 종목의 경우 주가 상승률은 가장 높았지만 이 시기 배당률은 3.03%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지는 못했습니다. 반면 USHY, JNK의 경우 LQD 만큼의 주가 상승률은 보여주지 못했지만 배당률은 각각 5.89%, 5.60%로 훌륭했습니다.
경제 위기 상황이 지나가면 반드시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그렇다면 미국 기준 금리를 올린다는 신호인데요. 이 기간에는 하이일드 채권 ETF 투자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채권 금리가 높아진다는 의미는 주가는 낮아지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언제 다시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에 투자해야 할까요? 맞습니다. 미국 기준 금리 고점일 때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기준 금리 고점에서 수개월간 지속된다면 투자 적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경기 침체가 예상된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미국 기준 금리는 낮아지겠지요? 이 시기에 맞춰 투자한다면 주가 상승과 배당금 수익을 모두 누릴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 추천하는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 USHY
- LQD
- JNK
USHY는 안정적인 상승과 높은 배당률로 가장 추천드립니다. LQD를 두 번째로 추천하는 이유는 USHY에 비해 배당률은 낮지만 주가 성장성 때문인데요. 지속적으로 미국 기준 금리가 낮아진다면 수익률은 LQD가 가장 높을 것입니다.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결국 경제 위기는 다시 발생하기 때문에 하이일드 스프레드의 방향성이 바뀐다면 즉시 모두 매도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경제 위기 발생 후 재 진입하시길 바랍니다. 하이일드 스프레드 지수 확인 및 활용 요령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이일드 스프레드(high yield spread) 투자 포인트!]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를 장기투자를 추천하지 않는데요.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최근 15년간 하이일드 채권 ETF 흐름입니다. 큰 흐름으로 보면 횡보라고 할 수 있지요? 인플레이션율을 감안하면 오히려 손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투자 보다 경제 위기, 금리 고점 상태에서 1년 정도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 추천 5가지 종목과 투자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렸습니다. 회사채에 직접 투자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높은 배당금을 약속하는 하이일드 채권 ETF는 매력도가 매우 높은 종목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하지만 경제 위기 상황이 발생한다면 주가는 크게 하락하기 때문에 하이일드 스프레드 지수를 활용해 적절한 투자 포인트를 잡기 바랍니다.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에 직접 투자하기 어려운 분들은 국내 상장 하이일드 채권 ETF도 존재합니다.
[국내 상장 하이일드 채권 ETF 3가지: 성공 투자 방법]
인기 급상승 투자 꿀팁!
- 국내 상장 미국 채권 ETF 추천 및 투자 전략 6가지
- 너무 쉽게 미국 국채 사는 법 3가지 (투자 요령)
- 커버드콜 장기투자? 장단점 분석을 통한 ETF 추천!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세금 절세 전략 3가지 꿀팁!
함께 알아두면 유용한 투자 꿀팁!
- 주린이를 위한 ETF 괴리율, 추적오차율 보는 법
- 연금저축 IRP ISA 순서 포인트!(나이, 납입 금액 별)
- 외화통장 VS 외화예금: 가입 전 ‘이건’ 꼭 알아두세요
- 새마을금고 부도 위험성 확인 방법 (부실 지점 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