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다양한 금 ETF 종류 때문에 선택의 어려움이 있나요? 그렇다면 한국, 미국 ETF 투자 포인트를 알면 선택이 쉽습니다. 이 글은 국내, 해외 골드 ETF는 물론 금과 관련된 여러 가지 ETF를 함께 안내해 드립니다.
목록
금 ETF 투자 전망? 지금일 수 있습니다!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는 금 시세를 보고 투자를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골드바를 사야 할지, 금 ETF를 매수해야 할지 선택지는 많은데요. 이보다 더 중요한 점은 ‘계속 금 시세가 오를 수 있을까?’라는 것이죠? 필자는 ‘당분간은 오른다’라고 판단하고 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아래 차트를 확인해 볼까요?
2024년 5월 현재 금 가격은 역대 최고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위 차트의 함정은 가장 금 값이 많이 오른 시기는 현재가 아닌 1970년 대 ~ 1980년대 초기입니다.
위 차트는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미국 물가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는데요. 1970년대에서 1980년대 초기(1번)까지 엄청난 인플레이션 시대였습니다. 1980년 물가 상승률은 무려 14.8%였으니까요. 이 때 금 가격은 40달러에서 700달러까지 약 17.5배 상승했습니다. 이처럼 금은 인플레이션 영향을 받습니다.
그 후 2000년도 초(2번)까지는 디플레이션 시대였습니다. 아쉽게도 금 가격은 서서히 내려가면서 금 투자자들은 재미를 보지 못했습니다. 2000년도 초(3번)를 지나 서서히 물가가 상승합니다. 이와 더불어 이 시기에 ‘리먼브라더스 사태’가 발생하면서 연방준비제도에서는 엄청난 달러를 발행하죠. 그 덕분에 다시 한번 금 가격은 크게 상승했습니다.
2019년 말(4번) 코로나19 이슈로 다시 한번 연방준비제도는 엄청난 양의 달러를 발행합니다. 당연히 시중에 풀린 달러로 인해 금 가격은 크게 상승했습니다. 또한 미국 물가 상승률 차트를 보면 디플레이션 시대를 지나 인플레이션 시대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1970년대와 같이 금 가격이 크게 상승할 여력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위 차트들을 잘 보면 인플레이션율이 금 시세보다 조금 더 앞서갑니다. 이는 금 ETF 투자 포인트를 잡기 유용하니 투자 지표로 삼아도 좋습니다. 그렇다면 쉽게 투자할 수 있는 금 ETF의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한국 금 ETF (현물, 선물)
국내 증권 계좌를 가지고 있는 분들은 다양한 증권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한국 금 ETF를 선택할 수 있는데요. 아래 ETF 종류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구성 | ACE KRX금현물 | TIGER 골드선물(H) | KODEX 골드선물(H) | TIGER 금은선물(H) |
---|---|---|---|---|
유형 | ETF | ETF | ETF | ETF |
기초자산 | 원자재 | 원자재 | 원자재 | 원자재 |
특징 | 금 현물 | 금 선물 | 금 선물 | 금 선물 |
기초지수 | KRX 금현물지수 | S&P GSCI Gold Index TR CME | S&P GSCI Gold Index TR CME | S&P GSCI Precious Metals |
실부담비용 | 0.7844% | 0.4771% | 0.8029% | 0.8116% |
발행사 | 한국투자신탁운용 | 미래에셋자산운용 | 삼성자산운용(ETF) | 미래에셋자산운용 |
상장일 | 2021.12.15 | 2019.04.09 | 2010.10.01 | 2011.04.08 |
순자산총액 | 2,163억 | 412억 | 1,586억 | 84억 |
현재가 (2024.05.02. 기준) | 14,880원 | 15,865원 | 14,855원 | 11,225원 |
평균 거래량 | 22.73만주 | 3.19만주 | 12.41만주 | 0.45만주 |
개인연금 | 가능 | 가능 | 가능 | 가능 |
퇴직연금 | 가능 | 불가능 | 불가능 | 불가능 |
ISA | 가능 | 가능 | 가능 | 가능 |
한국 금 ETF 투자 포인트!
4개 ETF 모두 비슷해 보이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금 현물, 선물 차이인데요. 현재 국내 금현물 ETF는 ACE KRX 금현물 ETF밖에 없습니다. 나머지는 모두 선물 ETF입니다. 우선 금 ETF 차트를 보면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2022년부터 ACE KRX 금현물 ETF와 KODEX 골드선물(H) ETF 주가 흐름인데요. 두 종목 모두 금에 투자하는 ETF임에도 불구하고 주가 차이는 꽤 큽니다. 가장 큰 이유가 바로 현물과 선물의 차이입니다. 현물은 말 그대로 현재의 금 시세에 맞게 투자됩니다. 하지만 선물 ETF는 미래의 금 시세에 투자합니다. 보통 1개월 후 시세를 예측해 투자하는데요. 선물 종목은 ‘롤오버’라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를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미래의 금 시세에 선물을 매수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시기가 도래하면 현물로 받아야겠지요? 그런데 사실 현물로 받지 않고 그다음 선물로 이관합니다. 이때 이관하는 롤오버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시세 차이로 인해 추가 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고, 추가 손실이 발생할 수 있겠지요? 대부분은 비용을 지불합니다. 그래서 위 차트와 같이 현물과 괴리가 계속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두 번째 차이는 바로 ‘환율’인데요. ‘H’라고 마킹된 ETF는 환헤지 종목입니다. 환율 변동에 관계없이 오로지 금 시세와 연동하겠다는 의미입니다. KRX 금현물 ETF는 환 노출 종목으로 환율이 오르면 덩달아 더 오릅니다. 반대로 환율이 내리면 더 내려갈 수 있습니다. 경제 위기,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환율이 높았던 시기가 많았기 때문에 환 노출 종목을 추천드립니다.
Tiger 금은선물(H)는 금 90%, 은 10%에 투자하는 종목입니다. 이는 은 시세에 따라 다른 종목보다 조금 더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 추천하는 종목은 아닙니다.
필자가 추천하는 한국 금 ETF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ACE KRX 금현물
- Tiger 골드선물(H)
- KODEX 골드선물(H)
- Tiger 금은선물(H)
그런데 이상하지요? KRX 금현물은 ETF가 아닌 현물 투자 가능한 상품인데 굳이 높은 수수료를 지불하면서까지 ETF로 판매할 이유가 있을까요? 그 답은 연금저축, IRP, ISA 등 절세 계좌에 투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필자는 이 종목들을 투자할 때는 꼭 절세 계좌를 통한 투자를 추천드리는데요. 최대 148만 원 정도 세액공제, 400만 원 비과세 등 절세 혜택이 있기 때문입니다. 위 ETF 들은 ‘배당 소득세’가 발생하는 종목들이기 때문에 절세 계좌를 이용한 투자를 강력 추천드립니다. 다만, KRX 금현물 ETF를 제외한 종목들은 ‘퇴직연금(IRP)’ 계좌를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 바랍니다.
[연금저축 IRP ISA 순서 포인트!(나이, 납입 금액 별)]
실물 금으로 인출 가능한 KRX 금현물 투자 방법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KRX 금현물 (금시장) 투자 ‘이런’ 장단점이 있습니다]
2. 미국 금 현물 ETF
미국 금 현물 ETF의 종류는 국내 상장 ETF 보다 훨씬 종류가 많은데요. 그중 거래량과 순 자산총액 기준으로 투자할 만한 미국 금 ETF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구성 | GLD | IAU | GLDM | SGOL | AAAU |
---|---|---|---|---|---|
유형 | ETF | ETF | ETF | ETF | ETF |
기초자산 | 원자재 | 원자재 | 원자재 | 원자재 | 원자재 |
특징 | 금 현물 | 금 현물 | 금 현물 | 금 현물 | 금 현물 |
기초지수 | LBMA Gold Price PM USD | LBMA Gold Price PM USD | LBMA Gold Price PM USD | LBMA Gold Price PM USD | LBMA Gold Price AM USD |
실부담비용 | 0.4000% | 0.2500% | 0.1000% | 0.1700% | 0.1800% |
발행사 | SPDR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 iShares | SPDR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 Aberdeen Standard Investments | Goldman Sachs |
상장일 | 2004.11.18 | 2005.01.21 | 2018.06.25 | 2009.09.09 | 2018.07.24 |
순자산총액 | $ 64,762.6M | $ 29,503.9M | $ 7,590.3M | $ 3,219.1M | $ 717.1M |
현재가 (2024.05.02. 기준) | $ 223.66 | $ 45.69 | $ 47.92 | $ 23.10 | $ 23.92 |
평균 거래량 | 892.50만주 | 778.00만주 | 452.01만주 | 363.77만주 | 298.41만주 |
미국 금 현물 ETF 투자 포인트!
위 표에서 안내하고 있는 ETF는 모두 현물 종목입니다. GDL은 국내에서도 유명한 미국 금 현물 ETF인데요. 상장일이 20년이 되었고, 순자산총액이 무려 $ 64,762M이나 됩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수수료가 0.4%나 된다는 점인데요. 1주 매수가도 $ 220으로 높은 편입니다. 위 종목들의 주가 차트를 확인해 볼까요?
5종목 모두 거의 동일한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국 금 현물 ETF의 투자 포인트는 정해졌습니다. 바로 ‘수수료’입니다. 필자라면 수수료가 저렴한 GLDM 또는 SGOL을 선택할 것입니다.
미국 주식, ETF 투자 시 주가도 중요하지만 ‘세금’을 잘 알아야 합니다. 수익금의 22% 양도소득세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있는데요. 아래 링크를 통해 쉽고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린이를 위한 미국주식 사는법 (수수료 비교 포함)]
3. 레버리지, 인버스 금 ETF
금 투자가 지루하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고위험, 고수익인 국내 2배 레버리지, 인버스 금 ETF를 소개해 드립니다.
구성 |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 H) | KODEX 골드선물인버스(H) |
---|---|---|
유형 | ETF | ETF |
기초자산 | 원자재 | 원자재 |
특징 | 2배 레버리지 | -1배 인버스 |
기초지수 | S&P GSCI GOLD Index Excess Return | S&P GSCI GOLD Index Excess Return |
실부담비용 | 0.7533% | 0.5980% |
발행사 | 한국투신운용(ETF) | 삼성자산운용(ETF) |
상장일 | 2015.07.28 | 2017.11.09 |
순자산총액 | 65억 | 51억 |
현재가 (2024.05.02. 기준) | 21,860원 | 6,015원 |
평균 거래량 | 0.90만주 | 0.83만주 |
국내 주식 시장에 상장된 레버리지, 인버스 금 ETF 종류는 2가지입니다. 레버리지 종목은 투자 시기만 잘 잡으면 아래 차트와 같이 높은 수익을 가져다주는데요.
하지만 투자 시기를 잘 못 잡으면 아래와 같습니다.
한 번 크게 하락하면 회복까지 쉽지 않은 종목이 레버리지 ETF입니다. 금 ETF의 경우 인버스 종목은 추천드리지 않는데요. 비교적 안전 자산인 금은 인버스 ETF로 수익내기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미국 금 ETF 3배 레버리지, 인버스 종목도 있습니다.
구성 | SHNY | GDXU | DULL | GDXD |
---|---|---|---|---|
유형 | ETN | ETN | ETN | ETN |
기초자산 | 원자재 | 주식 | 원자재 | 주식 |
특징 | 3배 레버리지 | 3배 레버리지 | -3배 인버스 | -3배 인버스 |
기초지수 | N/A | S-Network MicroSectors Gold Min TR USD | N/A | S-Network MicroSectors Gold Min TR USD |
실부담비용 | 0.9500% | 0.9500% | 0.9500% | 0.9500% |
발행사 | BMO Capital Markets | BMO Capital Markets | BMO Capital Markets | BMO Capital Markets |
상장일 | 2023.02.21 | 2020.12.02 | 2023.02.21 | 2020.12.02 |
순자산총액 | $ 18.9M | $ 356.7M | $ 1.9M | $ 32.6M |
현재가 (2024.05.02. 기준) | $ 39.59 | $ 46.70 | $ 11.27 | $ 19.45 |
평균 거래량 | 1.40만주 | 119.54만주 | 0.29만주 | 352.99만주 |
무려 3배씩 주가가 움직이기 때문에 강심장이 아닌 분들은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위 차트는 1배 종목인 GLD와 SHNY 주가 흐름입니다. 확실히 3배 종목은 상승 폭도 크지만, 하락 폭도 엄청납니다. 역사적인 기록을 살펴보면 GLD의 최대 하락폭(MDD)는 -15.91%이지만 3배 레버리지 종목은 -92.81%입니다. 이 정도 하락폭이 감당할 수 있다면 투자를 하십시오. 하지만 미국 금 ETF 3배 종목을 장기투자는 권하지 않는데요. 장기투자할수록 투자금이 녹아내리기 때문입니다.
2배, 3배 ETF 종목들은 투자 전 항상 수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배율이 높은 만큼 수수료도 높기 때문에 매수 전 체크 바랍니다.
4. 미국, 국내 금 채굴기업 ETF
금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이 아닌 금 채굴기업에 투자하는 ETF도 있습니다. 국내 상장 ETF와 미국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종목 3가지가 있는데요.
구성 |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 GDX | GDXJ |
---|---|---|---|
유형 | ETN | ETN | ETN |
기초자산 | 주식 | 주식 | 주식 |
특징 | 대규모 채굴 기업 | 대규모 채굴 기업 | 소규모 채굴 기업 |
기초지수 | NYSE Arca Gold Miners Index (Price Return) | NYSE Arca Gold Miners TR USD | MVIS Global Junior Gold Miners NR USD |
실부담비용 | 0.6261% | 0.5100% | 0.5200% |
발행사 | NH-Amundi자산운용 | VanEck | VanEck |
상장일 | 2024.01.18 | 2006.05.16 | 2009.11.10 |
순자산총액 | 101억 | $ 14,291.4M | $ 5,370.3M |
현재가 (2024.05.02. 기준) | 12,355원 | $ 36.87 | $ 46.35 |
평균 거래량 | 1.92만주 | 2,772.97만주 | 738.02만주 |
하나로 글로벌 금채굴기업 ETF의 경우 미국 ETF인 GDX와 동일한 기초 지수이므로, 국내 계좌로 투자 시 이를 이용해도 됩니다. 그렇다면 금에 직접투자하는 ETF와 비교를 해 보겠습니다.
상장일이 무려 20년 정도 된 GDX와 GLD 비교 결과입니다. 전체적인 흐름을 보면 GLD가 훨씬 뛰어난 성과를 보였습니다. 그렇다면 GDX, GDXJ 투자는 하지 않는 것이 좋을까요?
위 차트를 보면 투자 요령이 생깁니다. GLD보다 주가 변동폭이 큽니다. GLD의 최대 하락폭은 -18.08%입니다. GDX ETF는 최대 하락폭이 -43.31%입니다. 그래서 금 시세가 하락 기조가 보인다면 GDX 투자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반대로 주가 상승으로 전환을 지켜본 후 짧은 기간 투자한다면 꽤 훌륭한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GLD의 최대 상승폭은 24.81%이지만, GDX의 최대 상승폭은 무려 52.92%나 되기 때문입니다. 필자라면 3배 레버리지 종목보다 금 채굴기업 ETF에 투자할 것입니다.
개별 금 관련주가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내, 미국 금 ETF 종류와 투자 요령에 대해 안내해 드렸습니다. 골드바 현물 투자도 좋지만 쉽게 매매할 수 있는 금 ETF도 큰 매력이 있습니다. 특히, 국내 종목의 경우 절세 계좌를 이용한다면 세액공제, 비과세 혜택이 크므로 반드시 이를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미국 종목은 수익금이 250만 원 초과하면 양도소득세가 발생하지만 종합소득세 과세는 되지 않기 때문에 적절히 이용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금 투자 시기가 좋은 만큼 여러분의 최고 수익을 응원합니다.
[금통장 추천? 투자 전 확인해야 할 5가지 주의사항!]
인기 급상승 주식 꿀팁!
- 국내, 미국 나스닥 100 ETF 비교: 성향별 종목 추천
- S&P 500 ETF 장기투자 전망? 종류별 투자하는 법
- 당신을 위한 미국 반도체 ETF 추천 종목 9가지!
- 한국판 SCHD 월배당 ETF 선택을 위한 5가지 요령!
- 커버드콜 장기투자? 장단점 분석을 통한 ETF 추천!
함께 알아두면 유용한 투자 꿀팁!
- 너무 쉽게 미국 국채 사는 법 3가지 (투자 요령)
- 외화 RP 위험성 얼마나 될까? 효과적 투자 방법!
- 외화통장 VS 외화예금: 가입 전 ‘이건’ 꼭 알아두세요
- 모햇 투자! 위험성(안전한가) 팩트 체크 5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