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 하이일드 채권 ETF 3가지: 성공 투자 방법

미국 하이일드 채권 또는 ETF에 직접 투자하기 부담된다면 국내 상장 하이일드 채권 ETF에 투자해 보세요. 비록 3종류밖에 없지만 시기만 잘 맞는다면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의외로 투자 포인트가 다른 3가지 ETF를 자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목록


국내 상장 하이일드 채권 ETF 3가지 특징!

필자가 소개하는 국내 상장 하이일드 채권 ETF 3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 KODEX iShares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
  • ACE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H)
  • Tiger 단기선진 하이일드 (합성H)

세 종목의 동일한 점은 모두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하는 ETF라는 점입니다. KODEX와 ACE 종목은 미국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하고요. Tiger 종목은 미국뿐만 아니라 선진국 중심으로 투자하는 하이일드 채권 ETF입니다.

해외 투자 ETF인 만큼 환율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는데요. KODEX iShares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는 달러 노출 상품입니다. 그래서 이 종목의 주가는 하이일드 스프레드와 함께 달러 가치로 평가됩니다. 반면 ACE, Tiger 종목은 환 헤지 종목입니다. 달러의 영향을 받지 않는 종목입니다. 달러 영향은 하이일드 채권 ETF에 매우 중요한데요. 이 종목의 투자 포인트가 되는 경제 흐름에 달러는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입니다. 이 3가지 종목을 더욱 섬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상장 하이일드 채권 ETF 비교

국내 상장 하이일드 채권 ETF 주가 차트 비교를 해 볼까요?

국내 하이일드 채권 etf

상장일이 오래된 Tiger 단기 선진 하이일드 종목에 비해 KODEX, ACE 종목은 상장일이 1년 정도밖에 되지 않아 최근 1년 주가 흐름으로 비교하였습니다.

KODEX iShares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의 주가 상승률이 가장 우수합니다. 그다음이 Tiger 단기 선진 하이일드 종목이네요. 코덱스 종목과 비슷한 결과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한 ACE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는 타이거 종목 대비 6% p 정도 낮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왜 이런 결과들이 발생했는지 이 종목들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우선 3종목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겠습니다.

구성KODEX iShares미국하이일드액티브ACE 미국하이일드액티브(H)TIGER 단기선진하이일드(합성 H)
유형ETFETFETF
기초자산채권채권채권
특징미국 하이일드 채권미국 하이일드 채권선진국 하이일드 채권
기초지수ICE BofAML US HY Constrained IndexMarkit iBoxx USD Liquid High Yield Total Return IndexiBoxxLiquidHighYield0-5Index
실부담비용0.2582%1.1254%0.3057%
발행사삼성자산운용한국투자신탁운용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2023.10.192023.04.182014.03.24
순자산총액289억원61억원159억원
현재가
(2024.10.21. 기준)
11,135원10,100원13,130원
평균 거래량4만주8,891주1,088주
배당월배당월배당연배당
연 분배율(배당률)5.61%6.31%2.93%

주가 차이가 발생하는 가장 큰 차이는 기초지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KODEX, ACE 종목은 미국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최대 15년 장기 채권에 투자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큰 편입니다. Tiger 단기 선진 하이일드 종목은 선진국 하이일드 채권이지만 만기가 최대 5년이기 때문에 KODEX, ACE 종목보다 변동성이 안정적입니다.

그렇다면 KODEX와 ACE 종목의 주가 차이는 왜 발생할까요? 바로 하이일드 채권 ETF를 구성하는 종목과 환 헤지 때문입니다.

구성KODEX iShares미국하이일드액티브ACE 미국하이일드액티브(H)TIGER 단기선진하이일드(합성 H)
구성종목 수3144
1위USHY
(97.44%)
HYLB
(27.67%)
단기선진하이일드 TRS(한국투자증권)
(72.99%)
2위USD 현금
(1.28%)
JNK
(26.85%)
단기선진하이일드 TRS(신한투자증권)
22.30%)
3위원화 현금
(1.26%)
USHY
(24.85%)
SHYG
(3.12%)
4위SHYG
(7.78%)
원화 현금
(1.57%)
5위ANGL
(2.89%)
6위HYDW
(2.64%)
7위SJNK
(2.30%)
8위USD 예금
(2.03%)
9위FALN
(1.65%)
10위HYS
(1.07%)

코덱스 아이셰어즈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 종목은 미국 인기 ETF인 ‘USHY’에 무려 97.44%나 투자하고 있습니다. ACE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H)는 ‘HYLB’를 비롯한 다양한 하이일드 채권에 분산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 종목을 구성하고 있는 종목의 주가 흐름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하이일드 채권 전망

의외로 큰 차이는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오히려 ACE를 구성하고 있는 일부 종목들은 KODEX를 구성하는 종목보다 수익률이 더 우수한데요. 그런데 결과는 완전히 반대입니다. 그 이유는 바로 ‘환율’에 있습니다. 두 종목의 결정적인 차이는 ‘환 헤지’ 여부입니다.

하이일드 채권 투자

최근 1년 환율 차트입니다. 점차 상승한 모습인데요. 이 영향으로 환 헤지 종목인 ACE 미국 하이일드 채권 액티브(H) 주가는 KODEX iShares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에 비해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이일드 스프레드 지수 하락과 환율 상승효과를 제대로 받은 KODEX iShares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 주가가 더 좋을 수밖에 없습니다. 반대로 환율이 내려간다면 ACE 종목의 수익률이 더 뛰어나겠지요?


Tiger 단기 선진 하이일드 ETF는 증권사의 스와프 계약을 통한 투자 방식인데요. ‘단기 선진 하이일드 TRS’는 어떤 하이일드 채권들이 구성되어 있을까요?

종목비율(%)
Medicine Borrower LP0.56%
Picard Midco Inc0.53%
DISH Network Corpo0.48%
DIRECTV Holdings L0.47%
Venture Global LNG0.44%
Teva Phamaceutical0.43%
CCO Holdings LLC0.42%
Uniti Group LP0.40%
American Airlines Inc0.38%
TransDigm Inc0.38%

위 구성은 이 종목을 구성하는 상위 10개 채권입니다. 전체적인 업종 구성 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서비스: 29.35%
  • 산업재: 17.86%
  • 기술: 9.02%
  • 헬스케어: 8.52%
  • 소비재: 8.10%
  • 금융 서비스: 6.51%
  • 소재: 6.30%
  • 부동산: 5.11%
  • 통신: 4.17%
  • 유틸리티: 3.19%

하이일드 채권 발행을 많을 수밖에 없는 업종인 서비스와 산업재 분야 비중이 높습니다. 그 외 다양한 회사채 채권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주가 흐름을 보입니다.


한 가지 반드시 알아야 하는 점이 있습니다. 바로 ‘운영 보수(수수료)’입니다.

  • KODEX iShares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 0.2582%
  • ACE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H): 1.1254%
  • Tiger 단기선진 하이일드(합성 H): 0.3057%

수수료만 판단하자면 KODEX 종목의 압승입니다. ACE 종목과 무려 4배 이상 차이가 납니다. ACE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 수수료는 모든 ETF 종목 중에서도 매우 높은 편에 속하는데요. 환 헤지 운용 수수료라고 하기에도 납득이 안됩니다. 동일한 환 헤지 종목인 Tiger 단기 선진 하이일드 ETF도 0.3057% 밖에 되지 않으니까요. 상장일이 오래되지 않아 운용 수수료가 많이 발생하는 것은 사실이나 장기투자자들에겐 큰 부담으로 다가오기 때문에 이 종목의 흥행을 위해서 반드시 운영 수수료를 낮춰야 할 것입니다.


국내 상장 하이일드 채권 ETF 배당금, 배당률

국내 상장 하이일드 채권 ETF의 또 다른 장점은 꽤 짭짤한 배당금인데요. 우선 3종목의 배당 형식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 KODEX iShares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 월배당
  • ACE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H): 월배당
  • Tiger 단기선진 하이일드(합성 H): 연배당

KODEX, ACE 종목은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와 같이 ‘월 배당’으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는 매월 배당금으로 생활비 마련하는 분들에게 좋은 투자 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 배당률도 꽤 높기 때문이죠. 반면 타이거 단기 선진 하이일드 ETF는 상장일이 무려 1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2023년 12월에 처음 배당금을 지급했습니다. 현재는 연말에 지급하는 ‘연 배당’ 형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다른 종목들에 비해 불리한 형태라고 판단되며 경쟁력 확보를 위해 ‘월 배당’으로 바뀌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상해 봅니다.

그렇다면 이 종목들의 연 배당률은 어떻게 될까요?

  • KODEX iShares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 연 5.61%
  • ACE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H): 연 6.31%
  • Tiger 단기선진 하이일드(합성 H): 연 2.93%

ACE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 ETF의 연 배당률이 가장 높습니다. Tiger 단기 선진 하이일드 ETF는 배당률이 연 2.93%로 낮아 보이는데요. 이는 투자하는 하이일드 채권의 만기가 KODEX, ACE에 비해 짧기 때문입니다.


[최근 KODEX iShares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 배당금 확인 바로 가기!]

[최근 ACE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H) 배당금 확인 바로 가기!]

[최근 Tiger 단기선진 하이일드(합성 H) 배당금 확인 바로 가기!]


하이일드 채권 ETF 투자 전략

지금부터 국내 상장 하이일드 채권 ETF 투자 전략을 안내해 드립니다. 사실 이 종목들은 국내에 상장한 지 1년 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투자 전략을 설정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종목들의 기초지수가 되는 USHY 등의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를 참고해 수립할 수 있습니다.

하이일드 채권 ETF를 투자하기 전 반드시 알아야 하는 지수가 있는데요. 바로 ‘하이일드 스프레드 지수’입니다.

하이일드 스프레드
미국 하이일드 스프레드 지수

하이일드 채권은 일정 기간 보유하면 높은 금리로 돌려주는 채권이지요? 왜 높은 금리를 적용할까요? 바로 채권 안정성 때문입니다. 하이일드 채권 자체가 신용도가 낮은 회사채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투자가 꺼려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높은 금리를 선택할 수밖에 없지요. 만약 미국 국채와 하이일드 채권 적용 금리가 동일하다면 여러분은 어떤 채권을 사겠습니까? 당연히 미국 국채입니다.

하이일드 스프레드 지수는 ‘미국 10년 물 국채 금리’에서 ‘회사채 금리’를 뺀 지수입니다. 이 지수가 급격하게 상승한다는 뜻경제 위기 또는 미국 기준 금리 상승의 경우입니다. 위 사진을 보면 큰 경제 위기 상황에 하이일드 스프레드 지수가 크게 상승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신용도가 낮은 회사채 금리부터 급격하게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하이일드 채권 ETF 비교
HYG ETF 코로나 19 당시 주가 차트

위 차트는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의 코로나19 상황 발생으로 급격하게 주가가 하락한 모습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주기적으로 하이일드 스프레드 지수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이일드 스프레드(high yield spread) 투자 포인트!]


‘위기 속에 기회가 온다’라는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하이일드 채권 ETF의 경우가 그렇습니다. 앞서 필자가 말씀드린 하이일드 채권의 위기‘경제 위기’, ‘미국 기준 금리 상승’ 시기인데요. 이 둘은 묘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HYG 최근 5년 차트

경제 위기가 발생하면 급격하게 하이일드 채권 ETF 주가가 하락합니다. 하지만 미국의 빠른 대응(제로 금리 정책)으로 빠르게 주가는 회복합니다. 주가가 급격히 하락했다면 투자 포인트입니다. 이 시기에 추천하는 종목은 ‘ACE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H), ‘Tiger 단기 선진 하이일드(합성 H)’입니다. 그 이유는 환율 때문인데요. 글로벌 경제 위기가 발생하면 원화 가치는 떨어지고 미국 달러 가치는 크게 상승합니다. 경제 위기가 발생했다는 뜻은 ‘이미 환율은 높아져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미국의 빠른 대응이 시작되면 환율이 안정화 되기 때문에 KODEX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에 투자한다면 환율로 인해 손해가 커질 것입니다.

경제 위기가 다소 안정되고 다양한 부양책으로 경제가 활성화되면 반드시 인플레이션이 이어집니다.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 결국 미국은 기준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는데요. 이때는 소유 중인 하이일드 채권 ETF를 모두 매도해야 합니다. 금리 상승은 곧 하이일드 채권 가격 하락이기 때문이죠.

시간이 흘러 지속적인 기준 금리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이 안정화가 되는데요. 경제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수개월간 기준 금리 고점이 지속된다면 하이일드 채권 ETF 진입 시기입니다. 미국 기준 금리 인하가 예상되기 때문이죠. 이 뜻은 하이일드 채권 가격이 상승, 이와 동시에 경제 위기가 오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경우 어떤 종목을 매수하시겠습니까? 맞습니다. 이때는 ‘KODEX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를 매수해야 합니다. 경제 위기가 발생하면 결국 환율도 크게 오르기 때문이죠. 환 노출 종목인 코덱스가 제격입니다.


지금까지 국내 상장 하이일드 채권 ETF 종류와 특징, 투자 포인트에 대해 안내해 드렸습니다. 국내 상장 종목은 미국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과 조금 달리 ‘환율’을 신경 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필자가 안내해 드린 방법을 적용한다면 꽤 안전하고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미국에 직접 투자하는 하이일드 채권 ETF 종류가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하이일드 채권 ETF 베스트 5! 투자 꿀팁!]


인기 급상승 투자 꿀팁!
함께 알아두면 유용한 투자 꿀팁!

Leave a Comment